사람살리는 교육/교육 정책
-
학계를 떠나는 한 박사과정 학생의 뜨거운 질타 <스크랩>사람살리는 교육/교육 정책 2013. 9. 25. 09:47
연구를 한다는 것과, 학위를 받는다는 것의 구분. http://newspeppermint.com/2013/09/23/epfl/ 이달 초,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의 한 박사과정 학생은 졸업을 몇 달 앞둔 상황에서 학교를 그만두며 학교의 모든 연구원에게 편지를 남겼습니다. 그리고 그의 편지는 1000 번이 넘는 트위터의 RT와 13000 번의 페이스북 like 를 받았습니다. 아래는 그 편지의 요약입니다. “ 내가 박사과정을 그만두는 가장 큰 이유는, 더 이상 나는 학계가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고 믿을 수 없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학계는 차라리 거대한 지원금을 집어 삼키면서 무의미한 결과들만을 양산하는 진공청소기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은 학문의 진전보다 자신의 이력만..
-
학업중단 숙려제사람살리는 교육/교육 정책 2013. 7. 29. 10:24
학업중단 숙려제 성과가 아래와 같이 보도되었다. 취지의 근본 및 효과성, '학업지속'의 개념 정의 등 고민해 볼 문제가 많아 간직한다. - 세부내용은 첨부파일(교육부 보도자료) 참조 ------------------------------ 「학업중단 숙려제*」시범운영 결과 참여자 5,312명 중 1,138명(21.4%) 학업 지속 * 학업중단에 앞서 2주 이상의 숙려기간을 부여하고 상담 등을 통해 신중히 결정하는 제도 □ 교육부(장관 서남수)는 ’12.6월부터 ’13.2월까지 9개월간 시범운영한「학업중단 숙려제」의 운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해당 고등학생 5명 중 1명이 학업을 지속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 숙려제 대상학생* 12,776명 중 5,312명(41.6%)이 숙려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
-
핀란드는 어떻게 우수 교원을 양성하나사람살리는 교육/교육 정책 2011. 4. 1. 14:08
핀란드 교원양성의 특징을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구기반 접근을 통해 교원들의 교육에 관한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신의 수업방법과 학생지도방법에 대해 철저히 연구하고 개선하는 성찰적인 교사(reflective teacher)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석사학위 수준의 교원을 양성함으로써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학사과정에서 석사과정에 이르기까지 전공과목과 교육학을 모두 이수하게 하고, 부전공 과목도 이수하게 한다. 이를 통해 학교의 다양한 교육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한다. 셋째, 충분한 교육실습을 통해 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이고 있다. 교육실습생 선발체제를 통해 사전에 철저히 준비를 시키고, 2∼3회의 실습기회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강화시킨..